LUHMES cell을 분화시켜보려고 합니다.
Lund human mescencephalic (LUHMES) cell은 human embryonic neuronal percursor cell입니다. 이 셀을 분화시켜서 dopaminergic neuron marker들을 확인하려고 합니다. 일단 결과적으로는 Dopamine transporter와 Tyrosine hydroxylase 인자들을 western blot assay를 통해서 확인했습니다. 또한 CellTiter glo assay를 이용해서 cell viabilty도 검증하였습니다. Celltiter glo assay는 세포 배양 중에 세포에 있는 ATP를 측정하여 세포 viabilit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약 자체 독성도 없고 아주 정확한 결과 측정을 할 수 있는 좋은 assay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처음 해보는 분화 실험이었는데 좋은 결과를 얻어서 다행이었습니다.
Materials | Concentration (i.e. 3 ng/mL) |
DMEM:F12 Medium | |
N2 supplement | 100x |
Poly-L-ornithine solution | 50 μg/ml |
Fibronectin human plasma(Human Fibronectin) | 1 μg/ml |
hBFGF | 40ng/ml |
GDNF | 20ng/ml |
L-Ascorbic acid | 0.02% |
N6,2′-O-Dibutyryladenosine 3′,5′-cyclic monophosphate sodium salt(db-cAMP) | 1mM |
tetracycline | 1ug/ml |
6-Hydroxydopamine hydrobromide | |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 |
Assay Plate 96 well | |
L-glutamine | 200mM |
이렇게 준비했습니다.
# 실험 전 준비사항
코팅!! coating
#분화 differentiation
이제 분화를 준비할게요
DAY -1
cell을 dish에 따라 수에 맞게 seeding을 해줍니다.
이때 보통 growth media로 cell 안정화시켜줍니다.
Growth media : DMEM:f12 500ml(+N2 supplement 5ml, P/S 5ml)
DAY 0
이때부터 분화를 시작합니다. Differntiation media로 Change 해주었습니다.
Differentiation Media : DMEM:f12(Tetracycline 1ug/ml, db-cAMP 1nM, GDNF 20ng/ml)
DAY2
그리고 Cell 다시 replating 해주었습니다.
Cell이 arrest가 걸린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더 이상의 성장은 없었습니다.
DAY4
다시 Differentiation media로 half change 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보통 DAY4~6 일차 때 실험을 들어간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분화 편이었습니다.
잘못됐거나 궁금한 점 있으면 알려주세요~
Cell titer glo 관련해서도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약 연구원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인생의 필수! 영양제에 대해서 알아봐요 (0) | 2025.02.24 |
---|---|
컴퓨터의 간편한 기능들! (PowerToys) (0) | 2022.12.20 |
CellTiter-glo 실험! - Cell Viabilty Assay (0) | 2022.11.08 |
Primary Hippocampal Neuron Culture(프라이머리 히포캠퍼스 뉴런 컬처) - 2 (1) | 2022.10.26 |
Primary Hippocampal Neuron Culture(프라이머리 히포캠퍼스 뉴런 컬처) - 1 (0) | 2022.10.25 |